-
AWS 활용 기초 #3. 에뮬레이터 사용하기클라우드/Amazon Web Service 2021. 4. 20. 13:39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 포스팅에서 생성한 가상환경에 개발환경을 설치한다. 마찬가지로 TeraTerm이라는 에뮬레이터를 통해 Linux 운영체제에 원하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초기 TeraTerm Terminal 그에 앞서 익숙하지 않은 Terminal의 형태를 조금 보기 좋게 바꿔보려한다. [설정 > 글꼴 > 글꼴]에 들어가 가장 익숙한 Consolas 12p로 세팅을 해준다. 이클립스의 Default 글꼴이자 개발자 선호도 1위 글꼴이기에 가독성이 보장된 글꼴이다.
Home Directory 확인 마우스 커서가 올라가 있는 라인을 보자.
ubuntu@ip-172-31-53-202:~$
ubuntu는 현재 접속된 유저명을, ip는 현재 접속 중인 ip를 ~$는 현재 위치가 Home Directory임을 의미한다. 명령어 pwd 를 입력하여 확인해주자.
가상환경을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관리자 계정인 root 계정과 사용자 계정인 ubuntu가 하나씩 만들어진다. root 계정으로 접속할 경우 ~$였던 터미널이 ~#로 바뀌어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관리자 계정 접속을 위해 비밀번호를 먼저 재설정한다.
sudo passwd root
해당 코드를 입력하면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이제 접속해보자.
su - root
코드를 입력하고 방금 저장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접속된 유저명이 root로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oot 계정이 존재하지만 root 계정을 사용할 경우 가상환경을 바꿀 수 있으므로 작업은 사용자 계정으로 하는 것을 권장한다. 하지만 사용자의 계정 권한으로 접근이 제한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 위의 sudo 코드라고 부르는 명령어다. Super User Do의 줄임말로 '관리자 계정 권한으로 작업을 하겠다' 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제 가상환경에서 직접 작업을 해보자. Nano Editor를 활용한 기본적인 HTML 페이지 생성이 목표다.
sudo apt-get install nano sudo apt-get install apache2
해당 코드로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먼저 다운 받는다.
nano 코드를 입력하여 Nano Editor가 정상 설치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가상환경의 IPv4를 주소에 집어넣어 Apache2가 정상 설치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Apache2 정상 설치 시 화면 위와 같이 화면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우리의 가상환경에 Apache2가 설치된 것이다. 지금의 화면은 Apache2를 설치 시 default 주소에 해당하는 index.html이다. 이 화면 대신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띄워주기 위해서는 index.html을 새로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
cd /var/www/html
해당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 후 ls 코드를 입력하면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 목록이 출력된다. 확인했으므로 이제 파일명을 변경하자.
sudo mv index.html index_origin.html
이제 해당 디렉토리에는 index.html이 없기 때문에 아까 주소를 다시 입력하면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 새로운 index 파일을 생성해주자.
sudo nano index.html
이 html 파일에는 가장 간단한 html 코드를 입력한다.
<html> <body> Hello AWS Ubuntu WebServer! </body> </html>
Ctrl + S 로 저장하면 새로운 인덱스 파일이 생성되었다. 이제 아까 접속한 IP로 다시 접속해보자.
새로운 index.html 해당 화면이 출력된 경우 정상적으로 index 파일이 생성된 것이다.
반응형'클라우드 > Amazon Web Ser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활용 기초 #6. php 설치 및 RDS 생성 (0) 2021.06.08 AWS 활용 기초 #5. MySQL 설치 (0) 2021.05.16 AWS 활용 기초 #4. 우분투 기본 명령어 (0) 2021.05.04 AWS 활용 기초 #2.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1) 2021.04.11 AWS 활용 기초 #1. 인스턴스 생성하기 (0) 2021.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