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활용 기초 #2. 인스턴스에 접속하기클라우드/Amazon Web Service 2021. 4. 11. 23:39반응형
이전 글 : 2021.04.11 - [클라우드/Amazon Web Service] - AWS 활용 기초 #1. 인스턴스 생성하기
AWS 활용 기초 #1. 인스턴스 생성하기
AWS(Amazon Web Service) : Amazon에서 배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 포스팅은 AWS Educate에 가입이 되어있다는 것을 전제로 작성한다. AWS의 다양한 서비스 중 가상 환경을 활용한 개발을 시도해보
cluster-taek.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인스턴스 생성을 마쳤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인스턴스의 터미널로 접속하려한다.
인스턴스 현황 인스턴스 탭에서 인스턴스 목록을 확인했을 때 실행 중인 인스턴스가 보이면 인스턴스 생성에는 성공한 것이다. AWS를 통해 서버를 생성했으니 접속을 해서 작업을 해야하는데 AWS 상에는 해당 서버로 바로 접속을 할 수 있는 메뉴가 보이지 않는다. 서버에 접속을 위해서는 따로 Linux가 호환되는 단말 에뮬레이터가 필요하다. 흔히 AWS에 처음 접하면서 같이 접하게 되는 Putty, TeraTerm 등이 이에 해당한다. 우리는 이 중 TeraTerm을 사용하여 해당 서버에 접속할 것이다.
Tera Term 이러한 아이콘의 무료 단말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이 Tera Term이다. 우리는 이 에뮬레이터로 아까 만들었던 인스턴스의 터미널에 접속할 것이다. 프로그램은 인터넷에 많이 존재하니 금방 다운로드 가능할 것이다. 다운로드 후 설치가 완료되면 Tera Term을 실행한다.
Tera Term 초기화면 Tera Term을 실행하면 먼저 이런 창이 등장한다. 호스트에 인스턴스의 IPv4를 넣고 확인을 누르고 경고창을 확인하면 SSH 인증 창으로 넘어간다.
SSH 인증 사용자 이름은 OS 이름인 ubuntu이고 비밀번호 대신 아까 다운받은 개인키 pem 파일을 업로드한다. 그리고 확인하면 다음과 같이 인스턴스의 터미널 화면이 등장한다.
인스턴스의 터미널 이렇게 터미널 화면까지 띄우면 정상적으로 인스턴스에 접속한 것이다.
반응형'클라우드 > Amazon Web Ser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활용 기초 #6. php 설치 및 RDS 생성 (0) 2021.06.08 AWS 활용 기초 #5. MySQL 설치 (0) 2021.05.16 AWS 활용 기초 #4. 우분투 기본 명령어 (0) 2021.05.04 AWS 활용 기초 #3. 에뮬레이터 사용하기 (0) 2021.04.20 AWS 활용 기초 #1. 인스턴스 생성하기 (0) 2021.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