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활용 기초 #1. 인스턴스 생성하기클라우드/Amazon Web Service 2021. 4. 11. 23:20반응형
AWS(Amazon Web Service) : Amazon에서 배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 포스팅은 AWS Educate에 가입이 되어있다는 것을 전제로 작성한다.
AWS의 다양한 서비스 중 가상 환경을 활용한 개발을 시도해보는 것이 이번 포스팅의 목표이다.
AWS Educate의 기본 화면 먼저 AWS Educate의 첫화면에 접속한다. My Classroom이 있는 경우 Go to Classroom이라는 버튼을 통해 접속 가능하고, 개인일 경우에는 AWS Account를 클릭하여 해당 화면에 진입할 수 있다. 화면에는 현재 남은 교육용 Credit과 총 세션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AWS Console로 접속하여 AWS의 다양한 서비스를 확인해보자.
AWS Console AWS의 콘솔 화면이다. 전체 서비스를 눌러보면 단순 가상환경 뿐만 아니라 가상환경에서의 DB, Machine Learning, 분석 툴 등 정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 중 제일 기초적인 EC2를 활용하려한다. EC2는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어로 사용자가 서버 내에 있는 가상 컴퓨터를 임대 받아 이를 활용하여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제공되는 많은 서비스 중 다수가 이 EC2를 베이스로 확장 가능하다.
EC2 대시보드 EC2를 선택하면 해당 계정 EC2의 전반적인 개요를 보여주는 대시보드가 등장한다. 이제부터 인스턴스 생성을 하고 가상 환경을 세팅하려한다. 여기서 인스턴스는 클라우드 상의 가상 서버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 아마존 클라우드 위에 개인 서버용 컴퓨터를 하나 올려놓는다.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통해 생성 가능하다.
단계 1. Amazon Machine Image(AMI) 선택 첫번째로 사용할 OS를 선택한다. 이 포스팅에서는 Linux 기반의 Ubuntu를 활용하려한다.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Linux를 활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타 OS에 비하여 가볍고 오픈소스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프리 티어 사용 가능' 이라고 붙어있는 OS 들은 현재 AWS Educate에서 무료로 활용할 수 있다. Ubuntu Server 18.04를 선택한다.
단계 2. 인스턴스 유형 선택 선택한 서버의 스펙을 정하는 단계이다. 다양한 옵션이 있지만 프리 티어에서는 선택권이 없다. '프리 티어 사용 가능' 라벨이 붙은 유형을 선택한다.
단계 5. 태그 추가 '다음 : %' 버튼을 클릭하여 Default 값으로 넘기다가 태그 추가 화면에서 서버의 이름과 운영자 정도를 설정해준다.
단계 6. 보안 그룹 구성 해당 설정은 이 서버를 관리하고 액세스 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설정이라 할 수 있다. 첫번째 SSH 설정을 통해 내 IP에서만 관리가 가능하도록 설정해주었으며, HTTP 설정을 통해 위치 무관하게 접속은 가능하도록 설정해주었다.
단계 7. 검토 위와 같은 설정으로 세팅이 되었다면 시작하기를 클릭하여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의 인증키 생성하기 서버 생성을 위해서는 키 페어가 필요하다. 키 페어는 타인이 해당 서버를 마음대로 침입할 수 없도록 IP와 함께 이중으로 체크가 가능하게 해준다. 임의로 이름을 설정하고 키 페어 다운로드를 진행한다. 다운로드 된 키 페어는 앞으로 쭉 사용해야할 인증서 역할이기에 꼭 보관이 필요하다.
상태 확인 최종 인스턴스를 생성한 화면이다. 이제 인스턴스를 활용하여 클라우드에서 서버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 인스턴스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클라우드 > Amazon Web Ser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활용 기초 #6. php 설치 및 RDS 생성 (0) 2021.06.08 AWS 활용 기초 #5. MySQL 설치 (0) 2021.05.16 AWS 활용 기초 #4. 우분투 기본 명령어 (0) 2021.05.04 AWS 활용 기초 #3. 에뮬레이터 사용하기 (0) 2021.04.20 AWS 활용 기초 #2.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1) 2021.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