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AWS 활용 기초 #6. php 설치 및 RDS 생성
    클라우드/Amazon Web Service 2021. 6. 8. 02:02
    반응형

    1. php 설치

     

    웹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php를 가상환경에 설치하고 활용하여 간단한 웹서비스를 만들어보자.

    sudo add-apt-repository ppa:ondrej/php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php5.6

    php5.6 버전을 설치하면

    php -version

    다음과 같은 코드를 활용해 설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5.6 버전의 php가 설치되었다.

     

    php의 default 화면을 Apache를 통해 보여주자.

    Apache index.html이 있는 폴더로 이동한다.

    cd /var/www/html/

    이전에 설치한 nano editor를 활용해 php 파일을 편집한다. 이 포스팅의 주 목적은 클라우드 서비스이므로 php는 간단한 예제를 통해서 확인해보도록 한다.

    sudo nano index.php

     

    index.php

    <?php phpinfo(); ?>

     

    해당 파일을 저장하고 IPv4 주소/index.php로 해당 사이트에 접속한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고 연동된 것이다.

     

    2. RDS 생성

    웹서비스의 기본이 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역시 클라우드를 통해 생성이 가능하다.

    AWS Console > RDS > 데이터베이스 생성

    기본 설정 값은 다음과 같다.

    엔진옵션 : MySQL

    템플릿 : 프리 티어

    설정 : 원하는 마스터 계정 생성

    DB 인스턴스 크기 : Default

    스토리지 : Default

    연결 : 퍼블릭 액세스 가능 : 예

    기타 : Default

     

    해당 설정이 끝나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초기 백업이 필요하므로 일정량의 시간이 소요된다.)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면 가상환경에서 해당 RDS에 접속할 수 있다.

     

    2-1. Ubuntu에서 접속하기

    mysql -u root -p -h #{생성한 RDS의 엔드포인트}

    2-2. Workbench에서 접속하기

     

    Ubuntu의 터미널 창보다 더 간편하게 DB를 관리하기 위해 Workbench를 사용해 접속해보자.

    어떤 Workbench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포스팅에서는 SQLGate for MySQL를 활용한다.

     

    호스트 : 생성한 RDS의 엔드포인트

    사용자 : 생성한 RDS의 마스터 계정

    암호 : 생성한 RDS의 마스터 계정의 암호

     

    접속에 성공하면 이렇게 DB를 Workbench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다.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RDS의 퍼블릭 접속 여부를 확인하자.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