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aS-TA #3 Paas-TA PlayPark 설정(1014)클라우드 2020. 10. 14. 11:32반응형
PaasTa-TA 로그인
조직관리 > 세부사항 보기
공간생성 : deploy
도메인 추가 : eh.kpu.kr (※ 시간 좀 걸릴 수 있음)
대시보드 > catatlog > mysql DBMS 사용
다음과 같이 Service가 생성되면 성공
Java8을 활용한 개발환경도 생성
앱이름과 URL 임의로 생성
testApp 접속 후
서비스 > 서비스 연결 > test > 재시작
DBMS 연결 완료 Paas-TA 사용 시 자동으로 서버 연결 후 데이터베이스 연결, 메모리 할당, 저장공간 할당
개발자는 개발만 하면 자동으로 연결을 시켜주는 클라우드 시스템
AWS로 실습환경 변경
이전의 인스턴스 정보로 접속 후 Elastic Block Store > 볼륨 > 8G 볼륨 생성
이후 Putty 로그인
다시 AWS로 넘어와서 만들어진 볼륨에 볼륨 연결
인스턴스 ID는 기존의 인스턴스 정보 사용
Putty에서
sudo file -s /dev/xvdg
sudo mkfs -t xfs /dev/xvdg
차례로 입력
sudo mkdir /data1
directory 생성
sudo mount /dev/xvdg /data1
data1 폴더로 mount
sudo chown ubuntu /data1
ubuntu에게 권한 부여
sudo chmod 755 /data1
data1의 모드 755로 변환 (이전 포스팅 참조)
반응형'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mazon Chatbot으로 Slack 경보 설정 (1) 2023.11.02 ⚙️ EKS에서 Container Insights 설정 (0) 2023.11.02 NextJS + k8s 프로덕션 환경에서 OOMKilled 현상 (0) 2023.10.25 Paas-Ta #2 환경설정(1007) (0) 2020.10.07 PaaS-TA #1 환경설정(0923) (0) 2020.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