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크 스펙(Tech Spec)의 활용기술 블로그 리뷰/뱅크샐러드 2020. 11. 6. 15:11반응형
Tech Spec (테크 스펙) : Tech(기술) + Spec(설명서)
- 기능을 구현하기 전에 이 기능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기술적으로 풀어 설명하고 제안하는 글
- 커뮤니케이션 비용 절감의 도구
요약 (Summary)
- 테크 스펙을 세 줄 내외로 정리
- 제안 전체에 대하여 누가/무엇을/언제/어디서/왜를 간략하면서도 명확하게 작성
배경 (Background)
- 프로젝트의 Context를 작성
- 왜 이 기능을 만드는지, 동기는 무엇인지, 어떤 사용자 문제를 해결하려 하는지, 이전에 이런 시도가 있었는지, 있었다면 해결이 되었는지 등을 포함
목표 (Goals)
- 예상 결과들을 Bullet Point 형태로 나열
- 목표와 측정 가능 임팩트들을 사용하여 추후 프로젝트 성공 여부 평가
목표가 아닌 것 (Non-Goals)
- 프로젝트에 연관되어 있으나 의도적으로 하지 않거나 해결하지 않으려 하는 것
- Bullet Point 형태로 나열
계획 (Plan)
- 준비한 모든 리서치, 준비 내용을 작성
- 어떻게 기술적, 엔지니어링적으로 접근할지 상세히 묘사
- 결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경우 어떤 것들을 고려하고 있는지 목록화
- UML 다이어그램, ERD 등이 포함 가능
이외 고려 사항들 (Other Considerations)
- 고려했었으나 하지 않기로 결정된 사항을 작성
- 이전 논의를 되풀이 하지 않고 문서 상으로 확인 가능
마일스톤 (Milestones)
- 테크 스펙의 내용을 바탕으로 추정한 마일스톤을 공유
- 실험 계획, 배포 날짜를 포함하여 최대한 상세하게 작성
테크 스펙을 사용하면 테크 스펙에서 작성한 뼈대에 살만 불이는 것으로 작업이 끝날 수 있기 때문에 코딩과 별도의 일이 아니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부담을 덜고, 완성도 있는 설계를 위하여 협업에서 테크 스펙을 활용한 문서화 작업은 필수적이다.
참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