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1. JRE와 JDK의 차이
2020/09/17 - [JAVA] - JRE와 JDK의 차이
JRE와 JDK의 차이
Eclipse나 IntelliJ와 같은 통합개발환경의 환경설정을 하다보면 심심찮게 나오는 용어가 JRE와 JDK이다. 관념적으로는 이해하고 있으나 차이를 명시적으로 설명하기에는 이해가 부족해 정리해보려
cluster-taek.tistory.com
2. http와 https의 차이
2020/09/25 - [Web Programming] - http와 https의 차이
http와 https의 차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www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HTTP는 프로토콜의 일종으로 웹브라우저(Client)와 서버(Server)간의 웹페이지와 같은 자원을 주고 받을 때 쓰는 통신 규약이.
cluster-taek.tistory.com
3. MVC Model1 과 MVC Model2
2020/09/09 - [Web Programming/Spring4.0] - MVC Model1 과 MVC Model2
MVC Model1 과 MVC Model2
MVC Model : Model + View + Controller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각 기능에 따라 분리하여 개발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모델 MVC Model 1 View와 Controller를 모두 동일한 JSP에서 수행하도록 개발하는 방식이다...
cluster-taek.tistory.com
4. Complier와 Interpreter의 차이
coding-factory.tistory.com/303
[Language]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란 무엇인가?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Source Program)을 목적 프로그램(Object Program)으로 번역하는 번역 프로그램이며, 프로그램 번역 방식에 따라 구분됩니다. ※ 원시프로그
coding-factory.tistory.com
5. Ajax 란?
2020/09/08 - [Web Programming/Ajax] - Ajax 란?
Ajax 란?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 비동기식 자바스크립트와 Xml ※ 비동기식 방식 : 웹페이지 전체를 리로드 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불러와 사용할 수 있는 방식 왜 사용하는가? 웹은 기본적으로
cluster-taek.tistory.com
6. SQL JOIN문의 종류
[MSSQL] JOIN의 종류설명 및 사용법 & 예제
조인이란? 두개이상의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입니다. 자신이 검색하고 싶은 컬럼이 다른 테이블에 있을경우 주로 사용하며 여러개의 테이블을 마치 하나
coding-factory.tistory.com
7. JSP와 Servlet
m.blog.naver.com/acornedu/221128616501
JSP와 Servlet(서블릿) 비교
JSP와 Servlet?? 어떤 개념을 가지고 있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1. Servlet 정확한...
blog.naver.com
8. JDBC와 ODBC
2020/11/12 - [Web Programming] - JDBC와 ODBC의 차이
JDBC와 ODBC의 차이
Java로 웹 개발을 하다보면 MySQL과 같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을 위해 자주 등장하는 것이 JDBC다. 어렴풋이 Java와 DB를 연동해주는 도구로만 알고 있는 이 JDBC와 또 다른 도구인 ODBC에 대해 알아보자
cluster-taek.tistory.com
9. 컴포넌트와 모듈의 차이
2020/09/11 - [Web Programming] - 컴포넌트(Component)와 모듈(Module)
컴포넌트(Component)와 모듈(Module)
웹을 공부하다보면 '재사용성이'라는 단어와 함께 컴포넌트와 모듈이라는 단어가 공공연하게 등장한다. 둘 다 '어떠한 구조와 기능의 최소 단위' 와 유사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기에 이 둘을
cluster-taek.tistory.com
10. PK와 FK
velog.io/@jch9537/DATABASE-PK-FK
[DATABASE] 기본키(PK), 외래키(FK)
데이터 모델링을 하며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개체관계도)에 테이블을 만들면서 테이블간의 관계 연결에 대해 어려움을 겪었다.요약하면 부모와 자식/ 참조하는 테이블과 참조되는 테이블로
velog.io
반응형'개발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기록 (0) 2022.01.06 Naver BoostCamp 6기 코딩테스트 후기 (1) 2021.07.03 파뿌리 #0923 (0) 2020.09.25 2021 KAKAO BLIND RECRUITMENT 후기 (3) 2020.09.18 Git CMD 관리 (0) 2020.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