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
AWS 활용 기초 #4. 우분투 기본 명령어클라우드/Amazon Web Service 2021. 5. 4. 00:00
폴더와 파일 관련 명령어 디렉토리 dir1 생성 mkdir dir1 임시 파일 file1 생성 touch file1 디렉토리 dir1 제거 rmdir dir1 파일 file1을 dir1으로 이동 mv file1 dir1/ 파일 file1을 file2로 복사 cp file1 file2 파일 목록 출력 ls -l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cd /home/ubuntu/dir1 # 절대경로 cd ~/dir1 # 상대경로 권한 관련 명령어 권한 상태 구조 d or - : Directory or File rwx : User의 권한 : Read 가능, Write 가능, Excute 가능 : 111(2)로 표현 -> 7 rwx : Group의 권한 : Read 가능, Write 가능, Excute 가능 : 111(2)로 표..
-
AWS 활용 기초 #3. 에뮬레이터 사용하기클라우드/Amazon Web Service 2021. 4. 20. 13:39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 포스팅에서 생성한 가상환경에 개발환경을 설치한다. 마찬가지로 TeraTerm이라는 에뮬레이터를 통해 Linux 운영체제에 원하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그에 앞서 익숙하지 않은 Terminal의 형태를 조금 보기 좋게 바꿔보려한다. [설정 > 글꼴 > 글꼴]에 들어가 가장 익숙한 Consolas 12p로 세팅을 해준다. 이클립스의 Default 글꼴이자 개발자 선호도 1위 글꼴이기에 가독성이 보장된 글꼴이다. 마우스 커서가 올라가 있는 라인을 보자. ubuntu@ip-172-31-53-202:~$ ubuntu는 현재 접속된 유저명을, ip는 현재 접속 중인 ip를 ~$는 현재 위치가 Home Directory임을 의미한다. 명령어 pwd 를 입력하여 확인해주자. 가상환경을 생성하면..
-
AWS 활용 기초 #2. 인스턴스에 접속하기클라우드/Amazon Web Service 2021. 4. 11. 23:39
이전 글 : 2021.04.11 - [클라우드/Amazon Web Service] - AWS 활용 기초 #1. 인스턴스 생성하기 AWS 활용 기초 #1. 인스턴스 생성하기 AWS(Amazon Web Service) : Amazon에서 배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 포스팅은 AWS Educate에 가입이 되어있다는 것을 전제로 작성한다. AWS의 다양한 서비스 중 가상 환경을 활용한 개발을 시도해보 cluster-taek.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인스턴스 생성을 마쳤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인스턴스의 터미널로 접속하려한다. 인스턴스 탭에서 인스턴스 목록을 확인했을 때 실행 중인 인스턴스가 보이면 인스턴스 생성에는 성공한 것이다. AWS를 통해 서버를 생성했으니 접속을 해서 작업을 해야..